-
안드로이드 구성요소리버싱/모바일 2023. 6. 26. 17:47
액티비티
- 내가 보고 있는 화면이 액티비티임
onCreate() : 액티비티가 생성될 때 호출
onstart() : 액티비티가 화면에 보이기 바로 전에 호출
startActivity() : 액티비티를 띄우는 메소드, 띄우기 전에 액티비티는 밑에 깔림(스택같이)
onResume() : 액티비티가 중지된 이후 호출(다시 시작되기 바로 전에 호출)
onRestart() : 액티비티가 중지된 이후 호출
onPause() : 또 다른 액티비티를 시작하려고 할 때 호출
onStop() : 액티비티가 사용자에게 더 이상 보이지 않을 때 호출
onDestory() : 액티비티가 없어지기 전에 호출
서비스
-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
- 액티비티가 인터페이스 같은거 보여주면 서비스는 상호작용 같은거
startService() : 시작
stopService() : 종료
브로드캐스트 수신자
- 매니페스트나 , registerReciver() 라는 메소드를 이용해서 등록
-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메시지를 받음
콘텐츠 제공자
- 한 프로세스의 데이터에 다른 프로세스에서 실행 중인 코드를 연결하는 표준 인터페이스
쉽게 말하면 이렇단다
앱 <-------콘텐츠 제공자--------> SQL, 인터넷, 파일
prefix : 콘텐츠 제공자를 사용한다는 고정적인 스킴(Scheme, 스키마아님) 항상 content://로 시작
authority : 콘텐츠 제공자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이름, 접근하려는 제공자를 명시, 일반적으로 com.xxx.xxx 같은 패키지 이름 사용
data type :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할 데이터의 타입을 정한다,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데이터의 타입이 하나라면 비워두고 슬래시 기호를 여러 개 연결해 사용할 수도 있다
id : 요청된 레코드의 아이디로 id가 없다면 요청한 전체의 데이터를 의미한다
onCreate() : 콘텐츠 제공자가 시작할 때 호출되는 메소드
query() :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소드
insert() : 콘텐츠 제공자에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하는 메소드
delete() : 콘텐츠 제공자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메소드
update() : 콘텐츠 제공자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갱신하는 메소드
getType() : URI 요청 시 데이터의 MIME 타입(어떤 파일인지)을 되돌려주는 메소드
'리버싱 > 모바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EB를 이용한 동적 디버깅 (0) 2023.07.03 안드로이드 리버싱 실습 with JEB (0) 2023.06.30 안드로이드 apk 구성 및 리버싱 도구 (0) 2023.06.28 안드로이드 모바일앱 모의해킹 - 2 - ~ADB 설명 및 사용법편~ (0) 2023.04.05 안드로이드 모바일앱 모의해킹 - 1 - 인시큐어뱅크 설치편 (0) 2023.03.30